Scope 3은 기업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간접 탄소 배출량을 말한다. 온실가스 배출원을 통제 가능성에 따라 나눌 때는 크게 3단계로 나눈다. 먼저, Scope1는 공장 굴뚝이나 회사 차량 등 직접 배출을 의미한다. 그리고 Scope 2는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의 배출이다. Scope 3단계에 가서는 기업이 직접 소유하지 않았거나 통제하지 않는 자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배출량을 아우르는 것이다. 이는 원자재 채굴, 직원 출퇴근, 제품 사용·폐기 시 발생하는 모든 탄소 배출을 포함한다.
[가장 많은 가스 탱크를 아우르는 Scope 3@TERI]
ESG 경영에서 Scope 3의 중요성
ESG 경영에서 이 Scope 3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이것이 대부분의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탄소배출원이고, 전체 탄소 발자국의 70~90%를 차지하기 때문이다. 최근 EU와 미국 등에서 국제적인 규제 압박과 기후 공시 의무화 흐름 속에, Scope 3 관리는 ESG 평가의 핵심 변수가 되고 있다. 결국 친환경 기업으로 인정받기 위해 기업에서 Scope 3 관리가 필수적 사항이 되었다.
국제 규제와 기후 공시 의무화 속의 Scope 3
EU의 CBAM(탄소국경 조정제도)나 미국의 기후 공시법은 해외 공급망의 탄소 데이터까지 요구하는 중이다. 만약 이를 무시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ESG 평가에서 점수가 깎일 수 있다. 기업이 Scope 3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급업체와 협력해 원자재 생산 과정의 탄소량을 파악하고, 재활용 소재 사용, 물류 최적화, 제품 수명 연장을 통해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부터 시작해야 한다.
Scope 3 관리 전략과 실천 방안
또한 기업이나 개인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‘디지털 탄소계산기’도 Scope 3 배출 관리에 도움이 된다. 기업은 이를 통해 복잡한 공급망 속에서 일어나는 환경 영향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ESG 목표 달성과 지속 가능한 미래 전략을 강화할 수 있다.
by Editor O